헤드라인뉴스 영어

관세 우려 속 인플레이션에 초점: 이번 주 알아야 할 것 Inflation in center focus amid tariff fears: What to know this week

language booster 2025. 3. 9. 21:26
반응형

Inflation in center focus amid tariff fears: What to know this week 

https://finance.yahoo.com/news/fed-chair-powell-stresses-patience-on-rate-cuts-policy-uncertainty-we-do-not-need-to-be-in-a-hurry-173144497.html?fr=sycsrp_catchall

1. 시장 동향: 주식 시장 하락

지난주 미국 주식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.

  • S&P 500: 3% 이상 하락
  •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: 2% 이상 하락 (~1,000포인트 감소)
  • 나스닥 종합지수: 3.5% 하락 (12월 최고치 대비 10% 이상 하락 → ‘조정’ 구간 진입)

2. 이번 주 주요 경제 지표 발표

시장 참여자들은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 물가 관련 지표(PPI, CPI) 발표를 주목하고 있다.

  • CPI(소비자물가지수): 2월 예상 2.9% (전월 3.0%)
  • Core CPI(근원 소비자물가지수): 3.2% (전월 3.3%)
  • PPI(생산자물가지수): 3.3% (전월 3.5%)

3. 연준(Fed) 금리 정책

미국 고용 시장은 예상보다 약간 부진했으나, 경제 성장 둔화 우려를 완화하는 수준이었다.

  • 2월 신규 고용 증가: 151,000명 (예상보다 낮음)
  • 실업률: 4.1%로 소폭 상승
  • 연준(Fed) 입장: 추가 금리 인하가 급하지 않다는 신호
    • 제롬 파월 의장: "더 명확한 데이터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것"
    • 시장은 올해 3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

4. 경기 침체 가능성?

  • 모건스탠리, JP모건,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금융기관은 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지만, 경기 침체(recession)까지는 아닐 것으로 전망.
  • 골드만삭스 경기 침체 확률: 15% → 20%로 상승 (여전히 낮은 수준)
  • 기업들도 침체를 크게 우려하지 않는 분위기 (S&P 500 실적 발표에서 ‘Recession’ 언급한 기업 수 13곳 → 2018년 이후 최저)

5. 주간 주요 이벤트

  • 기업 실적 발표: 오라클(ORCL), 어도비(ADBE), 다큐사인(DOCU), 울타뷰티(ULTA) 등
  • 경제 지표 발표:
    • 월요일: 뉴욕 연준의 인플레이션 기대치
    • 수요일: 소비자물가지수(CPI)
    • 목요일: 생산자물가지수(PPI),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
    • 금요일: 소비자 심리지수
반응형